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이해하기.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이해하기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중국, 일본 및
한국의 10개 회원국 간의 중요한 다자간
통화 스와프 협정입니다.
CMIM의 역사와 탄생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은 1997-98년 아시아 금융 위기에 대응하여 탄생했으며, 이는 태국의 금융 붕괴를 시작으로
동아시아 전역에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습니다.
통화가 폭락하고 경제가 위축되면서
이 국가들은 금융 위기에 대한 취약성과
더 강력한 금융 안전망의 필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은 ASEAN+3으로 통칭되는 한국, 중국, 일본과 함께 2000년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를 시작했습니다.
재정 위기에 처한 국가에
유동성 지원을 제공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강력한
메커니즘의 필요성을 인식한 CMI는
2010년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간화(CMIM)로
알려진 다자간 통화 스왑 계약으로 전환되었습니다.
CMIM은 국제 수지 위기 중에
회원국이 활용할 수 있는 외환 보유고 풀을
만들어 미래의 금융 위기로부터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ASEAN+3 국가의 공동 노력을 나타냅니다.
CMIM의 기여 구조
CMIM은 본질적으로 외환 보유고 풀입니다.
모든 참여 국가가 이 풀에 기여하고
기여도에 따라 차입 능력이 결정됩니다.
한 국가의 기여도가 높을수록
차입 할당량도 커집니다.
CMIM 풀의 총 규모는 미화 2,400억 달러이며,
이 중 80%는 중국, 일본, 한국이,
나머지 20%는 ASEAN 10개 회원국이
기여했습니다.
ASEAN 회원국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은
총 CMIM 풀의 20%인
480억 달러를 공동 기여합니다.
중국과 홍콩이 함께
960억 달러(또는 전체 풀의 40%)를 기여했으며,
중국 본토가 935억 달러, 홍콩이 45억 달러를
기여했습니다.
일본은 중국에 동일한 금액을 기부하여
미화 960억 달러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만큼 큰 경제 규모는 아니지만
여전히 192억 달러의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CMIM의 기능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의 주요 기능은 금융 위기 동안 동아시아 국가들이
금융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핵심 기능은
국제수지와 단기 유동성 문제에 직면한
회원국에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
이는 회원국이 그러한 위기 동안
빌릴 수 있는 외환 보유고를
풀링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또한 CMIM은
아시아거시경제조사국(AMRO)과 함께
회원국의 거시경제 상황과 재정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기 위해 경제 감시를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위험을 조기에 식별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권고할 수 있습니다.
CMIM의 이러한 예방 및 보호 역할은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적 안정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금융 위기 시
금융 안정을 강화하고
지역 자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중추적 메커니즘입니다.
아시아 금융 위기에서 탄생한 이 건물은
ASEAN+3 국가들이 미래의 경제 난기류를
경계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과 의지를 상징합니다.
주요 기능에는 단기 유동성 지원 제공 및
정기적인 경제 감시 수행이 포함되며
두 가지 모두 지역의 경제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몇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CMIM은
공동 번영과 경제 안정의 미래를 추구하는 동아시아의
회복력과 협력에 대한 증거입니다.
'경제 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배출권이란 무엇인가요? 자세하게 알아보기 (39) | 2023.05.29 |
---|---|
컨트리 리스크란 무엇일까요? 자세한 예시와 함께 알아보기 (8) | 2023.05.28 |
완전경쟁 시장이란 무엇인가요? 예시와 특징 알아보기. (3) | 2023.05.27 |
최종수요(final demand)란 무엇인가요? (9) | 2023.05.27 |
채권시장이란 무엇인가요? feat. 1차 시장(발행시장), 2차 시장(유통시장) (6) | 2023.05.24 |
댓글